Research
도시계획은 도시의 제반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전문분야로서 도시의 바람직한 발전방향, 도시공간구조의 형태와 기능구성, 물리적 환경조성, 그리고 이의 실현을 위한 각종 정책들을 모색하는 사회적 기술입니다. 즉, 도시계획은 국토공간에서부터 도시 내 시가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공간적 범역을 대상을 하여 그 지역의 여러 문제와 잠재력을 예측하고, 효율성과 형평성에 의거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적인 분야입니다. 도시설계는 도시계획 중에서 물리적인 환경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쾌적하고 기능적이며 아름다운 생활환경을 창조해나가는 전문분야로서, 건축 및 조경 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계획이 각종 사회지표를 다루고 계량적인 기법을 동원하는데 반하여, 도시설계는 환경의 질적 문제를 규범적 이론에 근거하여 다루며, 또한 3차원적인 공간계획을 다룸으로써, 건축과 도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직위 | 성명 | 전공 | 연구실 | Phone | Homepage | |
---|---|---|---|---|---|---|
교수 | 권영상 | 도시설계 | 35동 413호 | 880-8200 | yskwon@snu.ac.kr | https://urbandesign.snu.ac.kr/ |
도시설계는 편리하고 쾌적하며 미적인 정주환경을 만들기 위해 도시계획, 토목공학, 교통, 건축, 조경, 디자인, 부동산, 인문학, 도시정책 등 다양한 학문분야가 관련되어 있는 학문분야입니다. 이에 따라 3차원적인 물리환경과 이들의 통합적인 계획을 창조하는 행위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도시설계는 각각의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이들의 지속적인 융합을 통해 새로운 영역을 창조해나갑니다. 다루는 범위도 도시적인 정주환경에서부터 생태환경, 인문환경까지 폭넓게 다룹니다. 이러한 폭넓은 분야를 다루기 위해서 도시설계가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소양이 요구됩니다. 최근에는 단지설계와 바람직한 주거환경, 도시재생, 신도시 및 해외도시설계, 도시지속성, 도시문화, 워터프런트 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물리적 공간환경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